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머신러닝 딥러닝
- 서버 os확인
- dlib 설치
- 로컬에서 서버
- Fourier
- transductive
- python패키지설치
- rnn구현
- 서버로 파일 복사
- fourier transform
- fourier 변환
- rnn
- 서버 os
- Machine Learning
- inductive learning
- inductive transductive
- python버전 동시 사용
- server os
- transductive learning
- 푸리에 변환
- 푸리에변환이란
- 머신러닝
- python2 python3
- 크롤링할때 중요한것
- 크롤링 주의사항
- 기초머신러닝
- 푸리에
- inductive
- ssh connection closed
- virtual env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RESEARCH (1)
우당탕탕 도비의 코딩로그
h-index란?
h-index(Hirsch index)는 연구원, 연구 기관, 국가의 연구 역량과 업적을 숫자로 표현하는 지표이다. 보다 객관적으로 연구원의 성취를 나타내기 위해 연구원이 그동안 투고한 논문의 수와 논문이 다른 논문들에 인용된 횟수(피인용수)를 반영한다. h-index는 연구원이 지금까지 투고한 모든 논문을 가장 많이 인용된 순으로 내림 차순 정렬을 한 뒤, 누적 논문 수와 피 인용수가 같거나 피인용수가 누적 논문 수 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지점에서의 논문 숫자이다.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h-index가 6 이다. 피인용수가 6이 넘는 논문을 6개 이상(최소 6개)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. 논문 title 논문 no. 피인용수 A 1 121 B 2 80 C 3 67 D 4 45 E 5 34 F ..
RESEARCH/PAPER
2021. 4. 4. 01:38